-> puts()는 "문자열"만 출력이 가능하고,
-> printf()는 "문자" 이외에 %d 등으로 정수, 실수 등 모두 출력할 수 있다.
문자열만 다루는 경우는 puts()가 빠르니 puts()를 사용하자.
sizeof() 함수는 몇 바이트를 차지하고있는지 "unsigned long"타입으로 리턴해주는 함수이다.
1. 6번 라인과 같이 원소를 모두 지정해주거나,
2. 7번 라인과 같이 배열의 크기를 지정해주어야한다.
8번 라인과 같이 단순 선언은 불가능!
calloc(size_t nmemb, size_t size); => size 크기의 자료가 nmemb개 만큼 들어갈 메모리를 할당. 모든 비트가 0으로 초기화
malloc(size_t size); => 크기가 size인 메모리를 할당. 값 정의 X
heap영역에 동적으로 생성된 메모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free()함수를 사용한다.
백준 11727: 2xn 타일링 2 (0) | 2023.08.14 |
---|---|
백준 11726: 2x n 타일링 (0) | 2023.08.14 |
백준 2839: 설탕배달(Greedy) (0) | 2023.08.14 |
백준 2606 바이러스(DFS) (0) | 2023.07.25 |
백준 11399 ATM(그리디) (0) | 2023.07.24 |